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보건의료노조가 내일부터 전국 145개 의료기관 4만여 명이 참여하는 무기한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예고했는데요, <br> <br>간호사 등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여 의료공백이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.<br><br>입원 환자들을 사실상 강제로 퇴원시키고 예정됐던 수술이 전면 취소되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사회2부 김용성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Q1. 김용성 기자, 내일 파업인데 벌써 환자들을 퇴원시키는 병원도 있다고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양산 부산대병원이 이틀 전 홈페이지 등에 안내문을 올렸는데요. <br> <br>내일인 13일부터 보건의료노조의 무기한 파업이 예고돼 수술, 입원, 외래진료 등 정상적인 병원 운영이 어렵다고 알렸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오늘까지 모든 입원환자들의 퇴원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며 양해를 구했습니다. <br> <br>양산 부산대병원의 경우 간호사 1700명 중 90% 정도가 노조원인 상황에서 파업이 강행될 경우 의료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인데요. <br> <br>양산 부산대병원 앞에는 입원 환자들을 다른 병원으로 옮기기 위해서 온 사설 구급차들이 줄지어 있었습니다. <br> <br>사설 구급차 기사들은 평소보다 문의가 3배에서 4배로 급증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갑작스럽게 병원을 옮겨야 했던 환자와 보호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못했습니다. <br><br>환자 보호자의 얘기 들어보시죠 <br> <br>[환자 보호자] <br>"파업하니까 무조건 다른 데 가야 한다고 얘기하죠. 황당하죠. 내일 수술해야 하는데, 무조건 가라고 하니." <br><br>[환자 보호자] <br>"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하는 파업이 아무리 합당하다 해도 받아들이는 사람이 합당할 수 있겠습니까. (환자가) 본인들 부모님이라면…" <br><br>Q2. 수술을 중단한 병원도 있다고요? <br><br>네 국립암센터는 매일 45건 정도의 암 수술이 이루어지는 곳인데요, 장기 파업 우려에 이번주 초부터 수술을 축소해서 진행하고 있고, 내일과 모레는 수술 일정을 전면 취소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취소된 수술만 100건에 달할 정도인데요. <br> <br>국립암센터 원장의 얘기 들어보시죠. <br> <br>[서홍관 / 국립암센터 원장] <br>"지금 수술이 다 취소되고 있는 상황이고요. 환자나 가족들이 아주 고통스러워 하고 있습니다. 암 치료가 늦어진다고 할 때 얼마나 고통을 받게 됩니까." <br><br>현재 국립암센터에는 500개 정도의 병상이 있는데요, 파업이 진행되면 320개 병상이 운영을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환자들은 혹시나 큰 일이 벌어지는 건 아닌지 노심초사입니다. 얘기 들어보시죠. <br> <br>[입원 환자] <br>"와야 하는 날짜에 예약이 안 돼서 늦춰서 와야한다. 진료, 항암 취소되거나 늦어지거나 이런 얘기하시더라고요." <br><br>[김영석 / 경기 김포시] <br>"환자로서는 치명적인 거죠. 생명을 다쳤는데 시간적으로 그렇게 되면 안 좋죠. 암이라는 게 얼마나 무서운 겁니까." <br><br>필수의료진들이 있긴 하지만 말씀드린 양산 부산대병원, 국립암센터 이외에 국립중앙의료원도 내일부터 이틀간 빠른 예약 서비스가 어려울 것이라고 공지했고요. <br> <br>서울아산병원 등 이른바 빅5 병원에서는 당장에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고려대의료원, 이대병원, 한양대병원 등도 파업이 예고돼 진료가 예정된 환자분들은 병원 측에 문의를 해보셔야 겠습니다. <br> <br>Q3. 현재 노조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요? <br><br>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2021년에도 총파업을 결의했다가 정부와의 협상이 막판에 극적타결되면서 실제 파업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었는데요, <br> <br>당시 보건의료노조와 정부는 이른바 9.2 노정합의를 했습니다. <br> <br>노조 측은 9.2 노정합의를 포함한 처우개선 약속에 대해 정부가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파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보건의료노조가 이번에 제시한 7대 요구사항이 있는데요, 간호사 대 환자수의 숫자 1:5 제도화, 간병비 해결을 위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전면 확대,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범위 명확화 등이 있습니다. 대부분 2년 전 노정합의 내용입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때 노조와 정부의 급박한 합의가 결국 파업이란 부메랑이 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[앵커]<br>잘 들었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사회2부 김용성이었습니다.